가스산업기사 자격증 취득을 향해!!
배관설비
1. 배관 내의 압력손실
1) 마찰저항에 의한 압력손실
- 유속의 2승에 비례한다(유속이 2배이면 압력손실은 4배)
- 관의 길이에 비례한다(길이가 2배이면 압력손실은 2배)
- 관 안지름의 5승에 반비례한다(관 안지름이 1/2로 작아지면 압력손실은 32배이다.)
- 관 내벽의 상태와 관련 있다.(내면에 요철부가 있으면 압력손실이 커진다.
- 유체의 점도와 관련 있다.(유체의 점성이 크면 압력손실이 커진다.
- 압력과는 관계가 없다.
2) 입상배관에 의한 압력손실
H = 1.293(S-1)h
H : 입상배관에 의한 압력손실(mmH2O)
s : 가스의 비중, h : 입상높이(m)
*가스 비중이 공기보다 작은 경우 "-"값이 나오면 압력이 상승되는 것이다.
2. ★ 유량 계산(배관 지름의 결정) ★
1) 저압 배관의 유량 결정
Q : 가스의 유량, D : 관의 안지름(cm), H : 압력손실(mmH2O)
S : 가스의 비중, L : 관의 길이(m), K : 폴의 상수(0.707)
단위 잘 외울것, 폴의 상수는 변화없음
2) 중.고압 배관의 유량 결정
P1 : 초압, P2 : 종압
K : 유량계수(코크스 상수 : 52.31)
연소기구
1. 연소방식의 분류, 특징
1) 적화식 : 연소에 필요한 공기를 2차 공기로 취하는 방식
- 역화의 위험성이 없음
- 자동온도 조절장치 사용이 용이
- 가스압이 낮은 곳에서도 사용할 수 있다.
- 불꽃의 온도가 낮아 국부적인 과열현상이 없다.
- 버너 내압이 높으면 선화현상이 발생한다.
- 고온을 얻기 어렵다.
- 연소실이 작으면 불완전연소의 우려가 있다.
2) 분젠식 : 가스를 노즐로부터 분출시켜 주위의 공기를 1차 공기로 흡입하는 방식
- 불꽃은 내염, 외염을 형성
- 연소속도가 크고, 불꽃길이가 짧다.
- 연소온도가 높고 연소실이 작아도 된다.
- 선화현상이 일어나기 쉽다.
- 소화음, 연소음이 발생한다.
- 공기조절기 조정이 필요하다.
2. 염공 및 노즐
1) ★ 염공이 갖추어야 할 조건 ★
- 모든 염공에 빠르게 불이 옮겨서 완전히 점화될 것
- 불꽃이 염공 위에 안정하게 형성될 것
- 가열 불에 대하여 배열이 적정할 것
- 먼지 등이 막히지 않고 청소가 용이할 것
- 버너의 용도에 따라 여러 가지 염공이 사용될 수 있을 것
2) 노즐
(1) ★ 가스 분출량 계산 ★
Q = 0.011 * K * D² * √(P/d)
or
Q : 분출가스량, K : 유출계수(0.8)
D : 노즐의 지름(mm), P : 노즐 직전의 가스압력(mmH2O)
d : 가스 비중
(2) 노즐 조정
* ★★ 웨버지수 ★★
가스의 연소 특성을 나타내는 지표로 천연가스, LPG, 도시가스 등의 호환성을 판단하는 데 사용
3. 연소기구가 갖추어야 할 조건
- 가스를 완전연소 시킬 수 있을 것
- 연소열을 유효하게 이용할 수 있을 것
- 취급이 쉽고 안전성이 높을 것
★ 연소기구 이상 현상 ★
1. 역화(Backfie)
연소 속도가 화염 방출 속도보다 빨라져 불꽃이 버너 내부로 역류하는 현상.
1) 원인
- 염공이 너무 커지거나 노즐 구경이 너무 큰 경우
- 연료 공급 밸브가 충분히 열리지 않은 경우
- 연료와 공기의 혼합이 불량한 경우
2) 문제점 : 버너 손상 및 화재 위험 증가
2. 선화(Lifting)
가스가 염공을 떠나서 연소하는 현상
1) 원인
- 버너의 압력이 높은 경우
- 가스 공급압력이 높은 경우
- 구경이 크게 된 경우
- 연소가스 배출이 불안전한 경우 또는 2차 공기 공급이 불충분한 경우
- 공기조절장치를 많이 열었을 경우
역화랑 선화는 반대현상이라고 생각하면됨
역화(연소속도>가스공급속도) ↔ 선화(연소속도<가스공급속도)
3. 황염(Yellow Tip)
불완전연소 시에 적황색 불꽃으로 되는 현상
1) 원인
- 공기 부족
- 연소 온도 부족
- 불완전 연소
4. 블로오프(Blow off)
가스의 분출 속도가 연소 속도보다 빨라져 불꽃이 노즐에서 떨어져 나가 꺼지는 현상
선화(Lifting)에서 불이 꺼지면 블로오프(Blow off)
* LP가스 불완전연소의 원인
- 공기 공급량 부족
- 배기 불충분
- 가스 조성이 맞지 않을 때
- 가스기구와 연소기구가 맞지 않을 때
'자격증 공부 > 가스산업기사 실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가스산업기사 이론정리(도시가스 공급 방식, 가스홀더, 정압기, 정압기 특성) (6) | 2025.07.12 |
---|---|
가스산업기사 이론정리(가스의 제조방법, 부취제, 부취제 구비조건) (4) | 2025.07.12 |
가스산업기사 이론정리(조정기, 1단감압식, 2단감압식, 자동절체식, 조정기의 조정압력(기밀시험), 가스미터) (8) | 2025.07.10 |
가스산업기사 이론정리 (자연기화방식, 강제기화방식, 기화장치, 피크 시 평균가스소비량) (0) | 2025.07.10 |
가스산업기사 이론정리 (메탄, 액화석유가스(LPG), LP가스 특징, 구형 저장탱크 내용적 계산식) (4) | 2025.07.10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