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자격증 공부/가스산업기사 실기

가스산업기사 실기 작업형 대비 이론정리 ( 비파괴검사, 방폭구조 )

by LifeCraft 용 2025. 7. 19.
728x90
반응형

가스산업기사 자격증 취득을 향해!!

 

비파괴 검사

 

1. 침투탐상시험(PT)

 피검체 표면에 열려있는 결함에 침투액을 침투시킨 후 현상액을 도포하여 결함에서 새어나오는 지시모양을 보고 결함을 찾음

 

1) 장점

  1. 가격이 저렴
  2. 시험 장비가 매우 간편하고 이동성이 좋음
  3. 시험 대상물은 금속뿐 아니라 모든 물체 적용 가능(비자성체 가능)
  4. 이종 금속 간의 용접 또는 납땜도 시험할 수 있다.

2) 단점

  1. 표면에 노출되어 있지 않는 결함은 검출이 불가하다.
  2. 시험 대상물 표면을 청소해야 한다.
  3. 자분탐상시험에 비해 시험 시간이 길다
  4. 용접 등 시험 대상물의 표면이 거친 경우 검사 판독이 어렵다.

 

2. 방사선투과검사 (RT)

 X선이나 γ선을 사용하여 시험체를 투과시킨 후 반대편에 필름을 부착하여 방사선 투과 정도에 따라 상을 기록

 

 1) 장점

  1. 육안으로 파악할 수 없는 내부 결함들을 검사할 수 있다.
  2. 현상된 필름을 잘 보관한다면 영구적으로 보존할 수 있음.

2) 단점

  1. 방사선을 사용하므로 인체에 유해한 환경을 조성
  2. 방사선 피폭량에 대한 관리와 교육이 필요
  3. 장비가 고가
  4. 별도의 판독자가 필요함

 

3. 자분탐상시험 (MT)

 강자성체를 자화시킨 후 자분을 적용하여 결함 부위에 자분이 모이는 현상을 이용하여 결함의 존재 유무와 위치, 크기 등을 파악한다.

 

1)장점

  1. 시험 속도가 매우 빠르다
  2. 시험 비용이 저렴하다
  3. 시험 장비가 간편하며 이동성이 좋다
  4. 표면 결함의 검출 능력이 뛰어남
  5. 얇은 페인트 등의 코팅이 있어도 수행 가능

2) 단점

  1. 시험 대상물이 강자성체로 한정된다.
  2. 검사 후 결함이 있는지 없는지는 확인 가능하지만 결함의 크기, 깊이를 정확하게 측정하기에는 한계가 있음
  3. 검사 후 자분 입자가 표면에 부착되어 이를 제거, 청소 해야함

 

4. 초음파탐상검사(UT)

 시험체에 초음파를 쏘아 내부의 결함으로부터 반사되어 돌아오는 초음파를 분석하여 결함의 유무,위치, 크기 등을 파악하는 방법

 

1) 장점

  1. 방사선 투과검사와는 달리 한쪽 접촉면을 통하여 시험체 내부를 검사할 수 있음
  2. 시험체 내부 결함의 위치, 길이, 표면으로부터의 깊이도 측정할 수 있음

2) 단점

  1. 많은 훈련과 높은 기량이 필요함
  2. 검사 대상물 또는 용접 두께가 최소한 6.4mm 이상이어야 한다.
  3. 시험체 표면을 평평하게 기계가공을 해야한다.

 

5. 와전류탐상시험(ECT)

 전자기 유도 현상을 이용. 교류 전류가 흐르는 코일을 금속 재료 가까이에 가져가면, 코일 주면에 자기장이 형성되고 이 자기장이 금속 재료 내부에 와전류를 유도하여 흐름 변화를 측정하여 결함 유무 판단.

 

1) 장점

  1. 시험 장비를 쉽게 자동화 할 수 있음
  2. 속도가 빠름
  3. 자성체, 비자성체 모두 적용 가능

2) 단점

  1. 시험체가 전기 전도체여야하고, 검사 가능 깊이는 수mm밖에 안된다.
  2. 시험체 표면에 자성체, 먼지가 오염되면 검사결과에 큰 영향을 미친다.

 

6. 음향 탐상 시험(AE)

 재료, 구조물이 변형 또는 파괴될 때 발생하는 음향에너지 이용.

발생하는 탄성파를 센서로 검출하여 신호로 변환하고 분석하여 결함의 위치, 크기, 진행 상황등을 파악한다.

 

1) 장점

  1. 현재 발생 중인 결함의 양상을 평가할 수 있다.
  2. 대형 구조물을 원거리에서 한번에 실시할 수 있음
  3. 사고예방에 효과적

 


 

방폭구조

 

1. 방폭구조 종류

1) 내압 방폭 구조 (d)

 방폭전기기기 내부에서 가연성 가스가 폭발하더라도 용기가 그 압력을 견디고 외부로 인화되지 않도록 한 구조

 

2) 압력 방폭 구조 (p)

 용기 내부에 보호 가스(불활성 가스)를 압입하여 폭발성 분위기가 용기 내부로 들어오지 못하게 하여 폭발을 방지하는 구조

 

3) 유입 방폭 구조 (o)

 전기 부품을 절연유 안에 넣어 폭발성 분위기와 접촉을 차단하여 폭발을 방지하는 구조

 

4) 안전증 방폭 구조 (e)

 정상 운전 시 점화원이 될 수 있는 스파크나 아크 발생 가능성을 줄여 폭발을 방지하는 구조

 

5) 본질 안전 방폭 구조 (ia, ib)

 정상 작동 시 또는 사고 시에 전기 회로에서 발생하는 에너지나 열이 폭발을 일으키지 않도록 제한하는 구조

 

6) 특수 방폭 구조 (s)

 위의 방폭 구조 외에 다른 방식으로 폭발을 방지하는 구조로, 시험 등을 통해 안전성이 확인된 구조

 

 

2. 방폭전기기기 온도 등급에 따른 발화도 범위

T1 : 450 ℃초과

T2 : 300 ℃초과 450 ℃이하

T3 : 200 ℃초과 300 ℃이하

T4 : 135 ℃초과 200 ℃이하

T5 : 100 ℃초과 135 ℃이하

T6 : 85 ℃초과 100 ℃이하

 

 

3. 폭발등급

 

1. ⅡA : 최대안전틈새범위 0.9mm이상

2. ⅡB : 최대안전틈새범위 0.5mm초과 0.9mm미만

3. ⅡC : 최대안전틈새범위 0.5mm이하

 

 

예) EX dib T1 ⅡA

1. 내압 방폭 구조

2. 본질안전 방폭구조

3. 폭발온도 450℃초과

4. 최대안전틈새범위 0.9mm이상

728x90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