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화론
1. 공간적 대응
- 도피성
- 대향성 : 내화성능, 방연성능, 초기소화 대응 등의 화재사상의 저항능력
- 회피성 : 불연화, 난연화, 내장제한, 구획의 세분화, 방화훈련(소방훈련), 불조심 등 출화유발, 확대 등을 저감시키는 예방조치 강구사항
공간적 대응 - 도대회
2. 연소확대방지를 위한 방화계획
- 수평구획(면적단위)
- 수직구획(층단위)
- 용도구획(용도단위)
3. 내화구조. 불연재료
내화구조 | 불연재료 |
1. 철근 콘크리트조 2. 석조 3. 연와조 |
1. 콘크리트, 석재 2. 벽돌, 기와 3. 석면판, 철강 4. 알루미늄, 유리 5. 모르타르, 회 |
*내화구조 : 공동주택의 각 세대간의 경계벽의 구조 - 철석연
4. 내화구조의 기준
내화구분 | 기 준 |
벽. 바닥 | 철골. 철근 콘크리트조로서 두께가 10cm이상인 것 |
기둥 | 철골을 두께 5cm 이상의 콘크리트로 덮은 것 |
보 | 두께 5cm 이상의 콘크리트로 덮은 것 |
5. 방화구조의 기준
구조내용 | 기 준 |
- 철망모르타르 바르기 | 두께 2cm 이상 |
- 석고판 위에 시멘트모르타르를 바른 것 - 석고판 위에 회반죽을 바른 것 - 시멘트모르타르 위에 타일을 붙인 것 |
두께 2.5cm 이상 |
- 심벽에 흙으로 맞벽치기 한 것 | 모두 해당 |
* 방화구조 : 화재시 건축물의 인접부분으로서의 연소를 차단할 수 있는 구조
* 모르타르 : 시멘트, 모래, 물을 혼합하여 만든 건축 재료
* 철망모르타르 : 철망 위에 모르타르를 발라 만든 것
* 시멘트 모르타르 : 시멘트, 모래, 물을 혼합하여 만든 건축 재료로 벽돌, 블록, 석재 등을 접착하거나 미장, 줄눈 채움 등에 사용
6. 방화문의 구분
- 60분+방화문 : 연기 및 불꽃을 차단할 수 있는 시간이 60분 이상이고, 열을 차단할 수 있는 시간이 30분 이상인 방화문
- 60분 방화문 : 연기 및 불꽃을 차단할 수 있는 시간이 60분 이상인 방화문
- 30분 방화문 : 연기 및 불꽃을 차단할 수 있는 시간이 30분 이상 60분 미만인 방화문
*방화문 : 직접 손으로 열 수 있고 자동으로 닫히는 구조(자동폐쇄 장치)일 것
7. 주요 구조부
건물의 주요 골격을 이루는 부분
- 주계단 (옥외계단 제외)
- 기둥 ( 사잇기둥 제외)
- 바닥 (최하층 바닥 제외)
- 지붕틀 (차양 제외)
- 벽 (내력벽)
- 보 (작은보 제외)
주요 구조부 : 주기바지벽보
8. 피난행동의 성격
- 계단 보행속도
- 군집 보행속도
1) 자유보행 : 아무런 제약을 받지 않고 걷는 속도. 앞에 지장을 주는 사람이 없음. 0.5~2m/s
2) 군집보행 : 앞에 지장을 주는 사람 또는 장애물이 있음. 1m/s - 군집 유동계수 : 협소한 출구에서의 출구를 통과하는 일정한 인원. 1.33인/m*s
9. 피난동선(피난 경로)의 특성
- 가급적 단순형태가 좋다.
- 수평동선과 수직동선으로 구분한다.
- 가급적 상호 반대방향으로 다수의 출구와 연결되는 것이 좋다
- 어느 곳에서도 2개 이상의 방향으로 피난할 수 있으면, 그 말단은 화재로부터 안전한 장소이어야 한다.
10. 제연방식
1) 제연방법
- 희석
- 배기
- 차단
2) 제연방식
- 자연 제연방식 : 개구부 이용
- 스모크타워 제연방식 : 루프 모니터 이용
- 기계 제연방식
1) 제 1종 기계 제연방식 : 송풍기+배연기
2) 제 2종 기계 제연방식 : 송풍기
3) 제 3종 기계 제연방식 : 배연기
송이, 배삼
11. 제연구획
화재 발생 시 연기의 확산을 막기 위해 건물 내부 공간을 구획하는 것을 의미.
연기의 확산을 억제하고 감지기 작동 및 배연을 원활하게 하기 위해 설정
구 분 | 설 명 |
제연경계의 폭 | 0.6m이상 |
제연경계의 수직거리 | 2m이내 |
예상제연구역~배출구의 수평거리 | 10m이내 |
12. 건축물의 안전계획
1) 피난시설의 안전구획
- 1차 안전구획 : 복도
- 2차 안전구획 : 부식(계단전실)
- 3차 안전구획 : 계단
2) 패닉(panic)현상을 일으키는 피난형태
- H형 : 피난 경로 형태 중 하나인 H형 구조에서 발생, 중앙 코너 부분에 피난자들이 집중되면서 패닉 상태가 발생할 우려가 있는 것을 의미
- CO형 : 주로 건축물 화재 시 발생하는 피난형태, 피난자들이 특정 지점에 집중되어 병목 현상과 패닉을 유발하는 현상. CO는 core의 약자이다.
12. 화재 적응 소화기구
화재의 종류 | 적응 소화기구 |
A급 | 1. 물 2. 산알칼리 |
AB급 | 포 |
BC급 | 1. 이산화탄소 2. 할론 3. 1, 2, 4종 분말 |
ABC급 | 1. 3종 분말 2. 강화액 |
화재종류 구분 이론정리
https://real-yong.tistory.com/440
소방설비기사 이론정리 ( 화재론 - 화재의 종류, 발생원인, 폭발한계, 폭발종류, 건축물의 화재성
소방원론 - 화재론 1. 화재의 발생현상발화요인별 : 부주의 > 전기적 요인 > 기계적 요인 > 화학적 요인 > 교통사고 > 방화의심 > 방화 > 자연적 요인 > 가스누출 장소별 : 근린생활시설 > 공동주택 >
real-yong.tistory.com
13. 주된 소화작용
소화제 | 주된 소화작용 |
- 물 | 냉각효과 |
- 포 - 분말 - 이산화탄소 |
질식효과 |
- 할론 | 부촉매효과(연쇄반응억제) |
* 질식효과 : 공기중의 산소농도를 16%(10~15%)이하로 희박하게 하는 방법
* 부촉매 효과 : 화학 반응의 속도를 늦추거나 멈추게 하는 물질의 효과
14. ★ 분말 소화약제 ★
종 별 | 소화약제 | 약제의 착색 | 적응 화재 | 비 고 |
제1종 | 중탄산나트륨 (NaHCO3) = 탄산수소나트륨 |
백색 | BC급 | 식용유 및 지방질유의 화재에 적합 |
제2종 | 중탄산칼륨 (KHCO3) = 탄산수소칼륨 |
담자색 (담회색) |
BC급 | |
제3종 | 제1인산암모늄 (NH4H2PO4) |
담홍색 | ABC급 | 차고. 주차장에 적합 |
제4종 | 중탄산칼륨+요소 (KHCO3+(NH2)2CO) |
회(백)색 | BC급 |
'자격증 공부 > 소방설비기사 필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소방설비기사 이론정리 ( 소방안전관리자의 업무, 제조소, 소방시설업 ) (8) | 2025.07.29 |
---|---|
소방설비기사 이론정리 (소방관계법규 - 관련법령, 인가.승인, 용어, 소방훈련 종류) (2) | 2025.07.29 |
소방설비기사 이론정리 ( 소방관계법규 - 횟수, 담당자 총정리) (8) | 2025.07.25 |
소방설비기사 이론정리 (소방관계법규 - 기간 총정리) (4) | 2025.07.24 |
소방설비기사 이론정리 ( 화재론 - 화재의 종류, 발생원인, 폭발한계, 폭발종류, 건축물의 화재성상, 연기, 위험물) (16) | 2025.07.23 |
댓글